반응형
소, 돼지, 닭 소화기관
돼지 | 소 | 닭 |
입 | 입 | 입 |
식도 | 식도 | 식도 |
위 | 반추위, 벌집위, 겹주름위, 진위 | 모이주머니(소낭), 선위(전위), 근위(사낭) |
소장(십이지장, 공장, 회장) | 소장(십이지장, 공장, 회장) | 소장(십이지장, 공장, 회장) |
맹장 | 맹장 | 맹장 |
대장 | 대장 | 대장 |
총배설강 |
단위동물인 돼지의 위와 같이 위액을 분비하는 곳이 소에서는 진위이고 닭에서는 선위입니다. 근데 헷갈리시면 안 되는게 닭의 경우 소낭, 선위, 근위를 합쳐야 단위동물의 위 하나의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소낭+선위+근위 = 단위동물 위
아래는 돼지 소화기관, 소 소화기관, 닭 소화기관을 그림으로 그려 보았습니다. 암기하시기 편할거에요. 돼지는 단위가축이고, 소는 반추가축이고 닭은 엄밀하게 따지면 애매한 부분이 있지만 편의상 단위가축에 넣습니다.

돼지 소화기관 그림(단위가축)

소 소화기관 그림(반추가축)

닭 소화기관 그림

닭은 돼지와 달리, 모이주머니(소낭), 선위(전위), 근위(사낭), 총배설강이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가장 최근 축산기사 필답 문제에서도 나온 문제에요. 처음 나온 유형입니다. 대부분 소의 4개 위만 외우거든요. 1회차에서는 닭하고 돼지의 소화기관을 내서 틀리라고 낸 겁니다. 사실 필답형이 20문제 밖에 안 되기 때문에(너무 적죠.) 기출 이외의 새로운 문제를 내거나 기존 문제를 어렵게 꼬아서 내서 난이도 조절을 합니다.
이 글에서는 소, 돼지, 닭의 소화기관이 무엇이 있는지, 차이는 무엇인지 한 눈에 들어오도록 암기하기 편하게 만든겁니다. 각 동물들의 소화기관의 자세한 기능은 따로 정리했습니다. (여기)
반응형
'실기 필답 기출문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반반복선발법 (0) | 2021.06.21 |
---|---|
개정전TDN, 개정TDN (0) | 2021.06.21 |
건물소화율 계산 (0) | 2021.06.16 |
지용성비타민, 수용성비타민 특징 (0) | 2021.06.15 |
거세우와 비거세우 비교 (0) | 2021.05.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