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축산기사 21년 3월 7일 1회. 필기 기출문제100

축산물가공학 96번. 식육동물의 근육조직 96. 식육동물의 근육조직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평활근은 내장근이며 불수의근에 속한다 2. 골격근은 횡문근으로 근육의 수축과 이완을 하는 불수의근이다. 3. 심근은 심장에서만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근육이며 자의에 의해 조절할 수 없다. 4. 골격근은 다수의 근섬유로 이루어져 있다. 정답과 풀이 정답은 2번입니다. 골격근은 횡문근(가로무늬근) 맞고요. 근육의 수축과 이완을 하는 수의근이에요. 자율신경계에 의해 조절되는게 불수의근이라서 대표적으로 심장근 생각하시면 되거든요. 지가 알아서 계속 움직여요. 평활근은 내장을 구성하고 얘도 지가 알아서 움직이니까 불수의근에 들어가요. 수의근: 골격근 불수의근: 심장근, 내장근 2021. 9. 7.
축산물가공학 95번. 순대와 비슷한 육제품 95. 다음 중 우리나라 순대와 비슷한 육제품은? 1. 간소시지 2. 혈액소시지 3. 혀소시지 4. 헤드치즈 정답과 풀이 정답은 2번입니다. 순대가 돼지 창자에 야채도 넣고 당면도 넣고 돼지 피도 넣고 하거든요. 그러니까 당연히 혈액소시지 고르시면 됩니다. 2021. 9. 7.
축산물가공학 94번. 치즈의 수율 94. 치즈의 수율을 증가시키는 방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원료유의 한외여과 2. 농축유 이용 3. 카제인염(caseinate) 첨가 4. 유당의 첨가 정답과 풀이 정답은 4번 입니다. 치즈수율은 우유에서 치즈로 만들어지면서 얻어지는 무게를 말합니다. 즉, 우유에서 치즈로 변하는 양을 말하는 거죠. 치즈는 만들 때 덩어리로 만들어지는 부분과 유청으로 분리되는데 이 유청에는 유당도 들어있어요. 그러니까 유당을 더 넣어봤자 어차피 치즈 덩어리로 만들어지지 않는 부분이어서 치즈수율을 증가시키는데 소용이 없다는 거죠. 한외여과는 그냥 농축이라고 생각하시면 되세요. 한외여과로 우유를 농축시켜서 치즈를 만들면 10~30% 수율 증가를 얻을 수 있다네요. 2021. 9. 7.
축산물가공학 93번. 근육의 사후경직 93. 근육의 사후경직 중 산 경직(acid rigor)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절식시킨 상태에서 도살된 동물의 근육에서 일어난다. 2. 피로한 상태에서 도살된 동물의 근육에서 일어난다. 3. 안정을 유지하면서 거의 운동을 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도살한 동물의 근육에서 일어난다. 4. 부득이한 이유로 절박도살된 동물의 근육에서 일어난다. 정답과 풀이 정답은 3번입니다. 경직에는 사후경직, 열경직, 산경직 등이 있다네요. 2021. 9. 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