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89

가축육종학 6번. 돼지 PSS 판정법 가축육종학 6번. 돼지의 스트레스감수성(PSS) 여부를 판정하는 방법으로 부적합한 것은? 1. 모색판정법 2. DNA 분석법 3. 혈청 중 CPK 활성 판정법 4. 할로텐(halothane) 검정법 정답과 풀이 정답은 1번입니다. PSS (Porcine Stress Syndrom) 는 돼지스트레스증후군 이라고 합니다. 유전적으로 스트레스에 민감하게 태어난 돼지입니다. 돼지하면 느긋하고 나태한 이미지가 떠오르셔서 아니 스트레스에 민감한 돼지도 다 있냐 하시는데 네 있습니다. 이런 돼지는 스트레스를 잘 받아서 발육도 좋지 못하고, 수태율도 낮고, 산자 수도 적고, 돼지고기 품질도 않좋고, 급사하는 등 인간에게는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그래서 이런 유전자를 가진 돼지를 일찍이 판별하여 도태시키는 것이 경제적으.. 2021. 3. 22.
정액 희석할 때 들어가는 첨가물 정액희석시 첨가물 간단하게 핵심적 역할만 썼습니다. 첨가물 핵심적 역할 1 난황, 우유 저온충격방지제 단백질원 2 포도당, 과당 등 당류 에너지원 3 시트르산(구연산), 인산 등 pH완충제 4 페니실린, 설파닐아마이드 세균증식 억제 항생물질 5(동결보존시) 글리세롤, DMSO(다이메틸설폭사이드) 등 동해방지제 pH완충제: pH 변화를 최소화하기 위해 첨가하는 완충 작용이 있는 물질. pH를 유지하는 완충작용을 함 2021. 3. 21.
인공수정시 정액 주입기 삽입 부위, 수정부위 차이점 인공수정시 정액을 주입할 때 주입기 삽입하는 부위는 소는 자궁체 내 돼지는 자궁경관(자궁경 내) 닭은 난관개구부 사람이 인공수정할 때 주입기를 어디에 위치해서 정액을 넣어주는 지를 말하는 겁니다. 사람이 정액을 넣어주는 위치와 넣어준 정자가 열심히 올라가서 난자와 실제로 만나서 수정이 이루어지는 부위는 다릅니다. 정자와 난자가 만나 수정이 이루어지는 부위는 소는 난관팽대부 돼지는 난관팽대부 닭은 난관누두부 2021. 3. 21.
선형계획법 선형계획법이란 선형계획법 (리니어 프로그래밍(Linear Programming)) 선형계획법은 최적화이론의 한 분야입니다. 최적화이론은 최소의 비용과 노력으로 가장 적절한 것(최적)을 찾아내는 방법을 뜻합니다. (최적선형은 결국 선형계획법을 뜻하는 것이죠) 축산을 경영하는데 있어서 필요한 경영 계획법(축산경영계획법)들 중에서 이 선형계획법이 나옵니다. 축산에서 이 개념을 쓰는 이유는 축산도 회사처럼 경영을 잘 해야 비용은 적고 높은 수익을 낼 수 있기 때문입니다. 소를 키우는 이유는 돈을 벌기 위함이 목적이기 때문에 당연히 경영관리에 힘을 써야합니다. 들어오는 수입이 많더라도 나가는 비용이 많으면 경영을 잘 한다고 할수가 없거든요. 내가 가지고 있는 자원 안에서 어떻게 선택하면 또는 어떻게 조합을 하면,.. 2021. 3. 2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