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거세우와 비거세우 비교
거세우 | 비거세우 | |
육량 | 비거세우에 비해 적음. 감소 |
거세우에 비해 많음. 증가 |
체지방량, 피하지방량 | 비거세우에 비해 많음. 증가 |
거세우에 비해 적음. 감소 |
육질 | 연하다. | 질기다. |
증체율(%), 증체량(kg), 일당증체량(kg/일) | 비거세우보다 떨어짐. 감소 |
거세우보다 높음. 증가 |
성장 | 둔화 O | 둔화 X |
출하체중일령 | 지연 O | 지연 X |
사료요구율 | 증가 | 감소 |
사료효율 | 감소 | 증가 |
거세우는 비거세우에 비해 지방량이 많아지는 대신 고기 양이 줄어듭니다. 그래도 경쟁력 있어요. 근육에 지방 축적이 되다보니까 마블링이 생기거든요. 그래서 육질은 거세우가 더 좋아요. 거세를 해서 누린내도 없고요.
증체율은 일정 기간 체중이 증가되는 정도나 비율(%)을 말합니다. 증체량은 일정 기간 증가한 체중(kg)을 말하고요. 거세우의 경우가 몸무게가 늘어나는 정도가 비거세우보다 떨어집니다.
사료요구율은 체중 1kg을 늘리기 위해서 사료를 몇 kg 먹여야 하는지 알기 위한 것으로, 사료 섭취량/체중 증가량으로 구합니다. 사료섭취는 적게하고, 살은 많이 찌는게 좋으므로, 사료요구율은 숫자가 작을수록 좋습니다. 사료요구율은 사료효율과 반대의 개념이고요. 거세우는 비거세우보다 사료요구율이 안 좋네요. 사료 더 먹고 살 찌니까요.
사료효율은 단위 중량의 사료를 섭취하였을 경우 생산되는 생산물의 양으로, 증체량(kg)/사료섭취량(kg)으로 구합니다. 사료요구율의 식의 반대죠. 살은 많이 찌면서 사료섭취는 적게 하는게 좋으므로 사료효율은 숫자가 클수록 좋습니다.
반응형
'실기 필답 기출문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물소화율 계산 (0) | 2021.06.16 |
---|---|
지용성비타민, 수용성비타민 특징 (0) | 2021.06.15 |
추정생산능력, 생산능력추정치 계산문제 (0) | 2021.04.26 |
젖소 유도사양, 돼지 강정사양 (0) | 2021.04.26 |
닭, 돼지, 소의 소화 기관과 기능 (0) | 2021.04.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