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c언어 짚고 넘어가기.
c언어는 참일땐 1. 거짓일때는 0으로 나타냄.
int a=10, b=5
printf("%d", a==b)
//a랑 b랑 같냐? 같지 않음. false가 아닌 0을 출력해야함.
정답: 0
메인함수
int g=12 //12는 2진수로 나타내면 1100.
g ^=5 //g=g^5 와 같음. 5는 2진수로 0101이다.
printf("g^=5의 결과: %d\n", g)
숫자 | 이진수 | |||
5 | 0 | 1 | 0 | 1 |
12 | 1 | 1 | 0 | 0 |
9 | 1 | 0 | 0 | 1 |
^ 이거는 xor 연산 이라서 서로 다를 때 1 반환함.
정답: g^=5의 결과: 9
메인함수
int *arr[3] //int형태의 포인터 배열 arr
&a | &b | &c |
arr[0] | arr[1] | arr[2] |
int a =12, b=24, c=36
arr[0] = &a
arr[1] = &b
arr[2] = &c
printf("%d\m", *arr[1]+**arr+1) // arr[1]에 b의 주소가 있음. *arr[1]는 b의 주소에 있는 값을 가져와라.
//arr은 배열 주소를 가리킴. 이건 arr[0]의 주소와 같음. arr[0] 에는 a의 주소가 담겨 있음. **arr는 a의 주소에 있는 값을 가져와라.
//24+12+1=37
정답: 37
반응형
'정보처리기사 필답 실기. 코딩 문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흥달쌤 유투브 강의. 깨알 c언어 1강 프로그래밍이란 (0) | 2025.05.23 |
---|---|
삽입정렬 (0) | 2025.05.23 |
파이썬 코드 문제 (0) | 2025.05.19 |
자바 코드 문제 (1) | 2025.05.18 |
c언어 코드문제 (0) | 2025.05.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