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축산기사 21년 3월 7일 1회. 필기 기출문제/축산기사 21년 1회 풀이

가축번식생리학 21번. 임신 진단법

by 귀엽소 2021. 4. 23.
반응형

가축번식생리학 21번. 임신 진단법

교배 후 다음 발정 주기에 재발정이 오지 않았을 때, 임신으로 판정하는 임신 진단법은 무엇인가?

1. 직장검사법

2. 질점막 생검법

3. 초음파 임신진단법

4. NR(Non-Return)법


정답과 풀이

정답은 4번 입니다. Non은 아니다. Return은 되돌아 온다는 뜻이기 때문에 다음 발정 주기입니다. 즉, 다음 발정 주기에 재발정이 안 오면 임신으로 판단하는 진단법 입니다. 소는 21일 주기로 발정이 오며, 인공수정을 했는데 다음 발정 주기에 발정이 오게 되면 임신이 안 되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NR(Non-Return)법은 외진법이라고도 합니다. 

 

정확한 임신 진단은 아니고 발정이 안 왔으니까 임신 이겠지 하는 추측을 하는 겁니다. 이 외진법으로 임신 진단을 한 농가가 있었는데 소가 출산할 때가 다 되었는데도 출산을 안 해서 이상해서 초음파 검사를 의뢰했더니 임신이 아니었다는 허무한 이야기가 있습니다. 대부분의 경우는 외진법으로도 임신 감정이 가능하지만 틀리는 경우도 있다는 말 입니다. 발정이 안 온지 40~50일 정도 되었을 때 직장 검사법으로 검사하는 것이 좋습니다. 

 

직장 검사법은 소의 똥구멍에 비닐 낀 손을 넣어서 그 밑에 있는 자궁 및 난소를 촉지 하는 것 입니다. 손 감각으로 임신 진단을 하는 것이죠. 임신 확인 여부는 자궁각 안에 양수가 들어 있는 느낌을 촉지, 임신한 자궁각 한 쪽이 커서 반대쪽 자궁각이랑 차이가 있는 것을 촉지, 난소를 만져보면 임신을 유지시켜 주는 임신 황체가 있는 지 확인, 태막 촉진 등이 있습니다. 사람 손으로 하는 것이기 때문에 비용이 적게 듭니다. 농가에서 많이 쓰는 가장 흔한 방법입니다. 

 

초음파 임신진단법은 직장 검사법과 비슷한데 사람 손이 아니라 초음파 기계로 인신 진단을 합니다. 초음파 기계를 소의 똥구멍에 넣어서 소의 직장 밑에 있는 자궁의 모습을 흑백 영상으로 보는 것 입니다. 산부인과가면 배 위에다 기계 갖다대고 아기 영상을 보는 것과 같습니다. 임신진단은 직장 검사법보다 정확하지만 초음파 기계를 사야하기 때문에 비용이 많이 드는 단점이 있습니다. 그래도 돈이 비싼게 좋은 게 화면으로 직접 보기 때문에 정확하고 요즘은 기술이 좋아져서 송아지 심장 소리도 들을 수 있습니다. 

 

질점막 생검법질검사법을 말합니다. 질경을 사용해서 소나 말의 질 내부를 관찰합니다. 질과 자궁질부의 상태에 따라서 임신을 판단합니다. 수정 후 2~3개월이 되고 임신한 소인 경우에는 질경(질확대경과 동의어. 질 내부 볼 수 있게 만든 기구)을 질에 넣을 때 상당한 저항을 합니다. 자궁질부는 긴축하여 작아집니다. 자궁외부는 닫혀 있습니다. 점액은 상당히 끈적거립니다. 임신 4개월에는 질벽이 건조하고 자궁외구(자궁에서 질로 연결되는 구멍)에서 뚜렷한 점액 덩어리를 볼 수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